티스토리 뷰
경기도민이라면 G-Pass 또는 지패스 우대용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 노인 교통카드라고 할 수 있는데요, 경기도에 거주하는 수도권 전철/지하철 무임승차 교통편의를 위하여 경기도에서 무료로 발급하는 지하철 무임 교통카드이며, 기존 11용 종이승차권 대신 반복사용이 가능한 비접촉식 RF카드입니다.
발급대상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48만명과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거주 장애인 63만명으로 총 211만명입니다. 상이국가유공자는 보훈처에서 도내 보훈지청을 통하여 발급받습니다.
발급장소는 경기도내 소재의 NH농협은행 전 영업점이고, 농/축협 영업점과 중앙회 및 단위농협도 포함합니다. 발급대상자가 무려 211만명이라니 상당히 많은데요, 본인이 해당되는지 잘 확인해보고 카드를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교통카드 혜택을 보겠습니다. 노인의 경우 버스는 유료, 지하철 및 전철은 무료입니다. 장애인은 일반장애인의 경우 버스는 유료, 지하철 및 전철은 무료입니다. 1~3급 중증장애인은 버스는 유료, 지하철 및 전철은 동반보호자 1인을 포함하여 무료입니다.
환승시 통합환승할인이 유지되고, 버스 > 지하철/전철 > 버스간 30분 이내에 환승시 적용됩니다. 교통카드의 종류는 신용, 체크, 현금, 단순카드가 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스티커를 제공합니다.
1. 신용카드 : 후불교통카드 기본탑재
2. 체크카드 : 충전이 필요한 선불식이지만, 계좌를 통한 자동충전 가능
3. 현금카드 : 농협 현금카드와 우대형 교통카드가 통합된 카드 (선불 충전식)
4. 단순선불카드 : 지하철은 무료이용 / 버스이용시 충전 후 이용가능
<관련글 - 장애인 복지카드 발급방법과 기간>
https://todaytip.tistory.com/865
장애인 복지카드 발급 방법 및 기간
장애인 등록증 및 복지카드의 종류는 총 여섯가지이며, 필요한 기능에 따라 선택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통합등록증A형은 신청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및 관할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todayti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