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랫동안 금리가 하락을 하다가 최근에 갑자기 상승하고 있는데요, 예적금 가입자들에게는 희소식이겠지만 대출이 있는 분들에게는 부담이 더욱 커질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예금, 적금, 대출에 대하여 연이자율 계산해보는 방법을 준비했는데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다양하게 있으며 저는 저축은행중앙회의 서비스(금리보기 - 금융계산기 - 예금계산 (fsb.or.kr))를 활용해보았습니다.
1. 예금계산
목돈을 일정기간 예치했을때 만기지급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예치금액 5천만원, 예치기간 1년, 이자구분 단리, 이자율 5.52%라고 가정했을때 일반세율 가입시 52,334,96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일반과세는 이자금액의 연 15.4%가 원천징수되며, 상기 계산결과는 월 기준이고 실제 계약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금액에 대해서는 각 저축은행에 문의해주세요.
2. 적금계산
매월 일정액을 예금하여 원하는 기간동안 모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월납입금액 1백만원, 목표기간 2년, 적금금리 3.6%라고 가정했을때 일반세율 가입시 24,761,4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세금우대 가입시에는 24,814,500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일반과세는 이자금액의 연 15.4%가 원천징수 되는데요, 여기에는 이자소득 14%와 주민세 1.4%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대출계산
대출금액의 상환금액과 일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원리금균등상환, 대출금액 1백만원, 대출기간 3개월, 대출금리 7%, 대출일 2022년 11월 21일이라고 가정했을때 회차별 상환액은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상환방법에 따라서 월상환액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금액이 궁금하시면 각 저축은행에 문의해주세요.
<관련글 - 디딤돌대출 계산기>
https://todaytip.tistory.com/899
디딤돌대출 계산기 [예상대출조회]
디딤돌대출은 주택을 처음으로 구입하거나, 신혼부부로 신혼집을 마련하는 분들을 위한 전세자금대출입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안내를 확인할
todayti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