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엑셀에서 함수를 잘 활용하면 일일이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아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엑셀 더하기 수식을 알아볼텐데요, 여러개의 숫자가 있으면 그것들의 합을 자동으로 구해주는 함수입니다. SUM 함수를 활용하면 되는데 간단하게 예시를 하나 들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참고로 저는 2016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합계를 구하기 위하여 임의로 표를 만들어보았는데요 과목과 점수를 작성하고 합계 칸을 비워놓았습니다.
A부터 E까지의 점수를 모두 더하면 얼마가 나오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결과값을 나타내고자 하는 셀을 선택하고 fx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함수 마법사 창이 뜹니다. 범주 선택에서는 [수학/삼각] 메뉴를 골라줍니다. 그리고 함수 선택에서는 아까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SUM]을 골라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함수는 인수들의 합을 구하는 기능을 하는데요 여러개의 숫자들을 한번에 더할 수 있습니다.
Number 부분에다가 합을 구할 인수들을 입력하거나 범위를 지정해줍니다. 최대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지만 논리값과 텍스트는 제외됩니다. 수식 결과를 미리 확인해보니 440이 나왔습니다. [확인] 단추를 누르면 결과값을 해당 셀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엑셀을 조금이라도 다뤄보셨던 분들에게는 어찌보면 매우 기본적인 함수였지만 혹시라도 엑셀 더하기 수식을 잘 모르셨던 분들을 위하여 알기쉽게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저는 내일도 유용한 팁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