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요일인데요 밖에는 바람이 많이 불고있습니다. 봄이 오기전에 환절기 감기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엑셀 함수 중에 하나를 가지고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엑셀 TRUNC 함수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하는데 간단한 예시를 보면서 알려드리면 더욱 좋을 것 같아 몇 장의 이미지를 같이 올려보았습니다.
엑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가 임의로 표를 하나 만들어보았습니다. 별다른 의미는 없고 그냥 소수점이 있는 숫자들을 세로로 다섯개 입력했습니다. 왜 굳이 소수점까지 입력했는지는 오늘 알아볼 함수의 기능을 보시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과값을 나타내고자 하는 셀을 선택하고 fx 단추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와같이 마법사 창이 뜹니다. 범주는 수학/삼각에 들어있으며 함수 선택에서는 TRUNC 항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린다고 설명되어 있네요.
이것과 기능이 유사한 함수로 INT가 있는데 그것은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한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그럼 이제 인수를 정해보겠습니다. Number 부분에다가는 타깃이 되는 셀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Num_digits 부분은 잘라낼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인데요 저는 1을 입력하여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만 표시되도록 해보았습니다 B2셀을 기준으로 결과값은 5.2가 나오네요.
나머지 숫자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명령을 내리기 위하여 결과값이 나온 셀의 우측 가장자리 모서리를 클릭하여 아래쪽으로 드래그합니다. 이제 여러분들도 엑셀 TRUNC 함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상황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